홍수조절기능 강화 요구했더니 기능삭제?
검색 입력폼
사회

홍수조절기능 강화 요구했더니 기능삭제?

광주시, 동복댐 홍수조절기능 삭제 추진...일방행정에 화순지역사회 발끈
화순군의회·지역사회단체 대군민 서명운동...군의회 온라인 서명창 운영

지난 여름 동복댐의 갑작스러운 방류로 물바다가 된 동복면 연둔리 일대
광주광역시가 관리규정 개정을 통해 동복댐의 홍수조절기능 삭제를 추진하면서 화순지역사회가 발끈했다.

광주시의 행태는 지난 여름 동복댐 방류로 인한 하류지역 수해와 관련 홍수조절기능 강화를 요구하는 화순지역사회의 입장과 정면으로 대치된다.

지난 여름 50여일간 집중호우가 이어진 가운데 동복댐이 갑자기 수문을 개방하면서 동복면과 사평면 일대가 심각한 침수피해를 입었다.

갑작스러운 수문 개방으로 동복면 한천리와 천변리 주민 110여 명이 긴급대피했고, 동복천의 범람으로 인근 마을 진입로가 물에 잠기며 100여명의 주민들이 고립됐다.

동복천 하류인 사평면 장전리도 하천이 범람하면서 주택 9채, 축사 1동, 농경지 90ha가 물에 잠겼고, 동면 동천이 범람하면서 인근 마을 주민 140여명이 긴급 대피했다.

이에 화순지역사회에서는 갑작스러운 방류가 피해를 키웠다며 동복댐을 관리하는 광주광역시에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등 강력하게 항의했다.

재발방지를 위해 동복댐의 홍수조절기능 강화도 요구했다. 하지만 광주시는 ‘동복댐은 홍수조절기능이 없다’며 사실상 책임을 회피했다.

이에 화순군의회는 윤영민 의원을 중심으로 동복댐 홍수조절기능 강화 대책마련 등을 위한 ‘동복댐 관련 화순군민 권리 수호를 위한 행정사무감사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활동에 나선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광주시가 동복댐의 용도 중 ‘홍수조절’기능을 삭제하는 관리규정 개정을 추진하면서 화순지역사회 전체로 광주시에 대한 분노가 확산되고 있다.

화순군의회는 지난 15일부터 광주시의 동복댐 홍수조절 기능 삭제를 반대하는 군민 서명운동에 나섰다. 서명운동에는 화순지역 사회단체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군의회는 서명운동을 통해 군민들에게 동복댐 홍수조절 기능 삭제에 대한 문제점을 알리고 공감대를 이끌어낸다는 구상이다. 군의회 홈페이지에도 온라인 서명창을 개설했다.

광주시를 향한 화순지역사회의 분노가 ‘동복댐 찾아오기’로 이어질지도 관심이다.

동복댐은 광주시민들의 식수 공급을 위해 1985년 조성됐다. 이후 광주시와 전라남도가 분리되면서 동복댐에 대한 관리권은 광주시가 갖게 됐다.

동복댐 조성으로 인한 혜택은 광주시민들이 받고 있지만 피해는 화순군민들의 몫이 됐다. 댐 주변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묶이면서 인근 주민들은 각종 규제로 인해 재산권 행사에 제한을 받고 있다.

동복댐 안에 위치하며 화순군이 ‘천하제일경’이라고 자랑하는 ‘화순 제1경 화순적벽’도 광주시의 허락을 받아야만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광주시의 동복댐에 대한 홍수조절기능 삭제 추진은 향후 지난 여름과 같은 수해가 되풀이될 경우 법적인 시시비비에서 완벽하게 벗어나겠다는 의도로 해석되며 화순지역사회의 분노에 불을 지폈다.
박미경 기자 mkp0310@hanmail.net

오늘의 인기기사